반응형

싱글 노후 준비 60

미래에셋 연금저축 자동 매수 설정 방법 및 불편점, 매수가 변경방법

지난해 미래에셋 연금저축 계좌를 만들었다. 노후준비용으로 적립식 자동매수가 편할 것 같아서 설정하였다. 적립식 자동매수 설정은 어렵지 않으나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 참고로 삼성증권 ISA에서도 적립식 자동매수 중인데 둘다 경험한 바를 기반으로 기록해본다. 💸 미래에셋 연금저축 자동 매수 설정 방법 초기 설정 자체는 메뉴 중 연금 > 연금 모으기 메뉴를 통해서 하면 된다.- 각종 약관에 동의 동의를 진행한다.- 자동매수 지정 종목을 검색하여 1개씩 추가한다.- 원하는 액수를 지정하는데 초기 디폴트는 오늘 현재 해당 etf의 가격으로 설정된다. => 반드시 수정, 넉넉한 금액으로 설정(※ 주의: 그 값으로 설정하면 매수가 안되는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매수가를 1만원으로 설정해두면 이 종목이 ..

맥쿼리인프라 주가 회복 관전 포인트

오늘 앱 알림에서 맥쿼리인프라 52주 연저점이라고 알림이 왔다.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가 싶었다. 2024년 연말 유상증자 끝나고 나면 개선되지 않을까 싶었지만 기대에 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유상증자 직후보다 주가가 더 떨어졌다. 📝 2025년 1월 9일 주봉 차트 대략 2021년부터의 차트를 보면 최근 4년 간의 주가 중 최하단 저점이다.  📝 맥쿼리인프라 주가 하락의 원인 삼성증권 리포트 요약은 아래와 같다. 어쨌거나 제일 중요한 원인은 배당 삭감 때문으로 보인다. 반기 배당주인데 2023년 반기 주당 385원에서 지난해 분배금은 반기 380원으로 5원 줄었다.  📝주가 회복의 조건하락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그 하락의 원인이 해결되어야 주가가 반등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로..

IRP 계좌로 연령별 연금 준비: 25세, 30세, 40세, 50세의 월 납입액 분석

IRP 계좌에서 매월 100만 원 연금 받기: 연령별 납입액 분석은퇴 후 55세, 60세부터 매월 100만 원씩 연금을 받기 위해 IRP 계좌에 얼마를 납입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연령별로 필요한 월 납입액을 계산해보니, 시작 시점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평균 수익률을 5%, 7%, 10%로 가정하여 25세, 30세, 40세, 50세에 시작할 경우의 월 납입액을 분석해보겠습니다.물가상승률 2%, 수익률 5% 가정할 때 필요한 월 납입금 연금 개시 나이 : 55세 연금 개시 나이 : 60세 물가상승률 2%, 수익률 7% 가정할 때 필요한 월 납입금연금 개시 나이 : 55세 연금 개시 나이 : 60세 물가상승률 2%, 수익률 10% 가정할 때 필요한 월 납입금연금 개시 나이 : 5..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차이 정리, 세액공제 최대로 받으려면

연금저축펀드와 IRP의 차이 정리입니다. 자입자격:연금저축펀드와 IRP(개인형 퇴직연금) 모두 가입 나이 제한이 없습니다.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도 가입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계좌를 개설할 수도 있습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1. **근로자**: 회사에 재직 중인 근로자. 2.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및 임대사업자. 3. **공무원 및 군인**: 공무원, 군인 등 직역연금 가입자. 4. **소득이 있는 모든 취업자**: 소득이 있는 모든 사람. 단, **학생**이나 **전업주부**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투자 가능 자산: 연금저축펀드: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혼합형 펀드, ETF 등 다양한 펀드에 투자할 수 ..

루틴의 중요성, 습관 형성, 주의사항, 루틴 유지방법

1월부터 본업이 비수기에 접어들면서 겨울에 집콕하면서 기분이 다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달 알바를 시작했다. 처음엔 갑자기 늘어난 활동량 때문에 배달 1건 하고, 드러눕고를 반복했다. 그런데 지금은 3-4건은 그냥 한 텀에 해내고는 한다. 생각보다 본업 비수기가 길어지고 있다. 주식시장을 아무도 예상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 일상도 업무도 예측을 할 수 없다. 이 긴 비수기를 어떻게 날 것인지가 나에게는 중요해졌다. 이렇게 길어질지 몰라서 더욱 그러하다.  다른 해에는 이럴 때 집콕하면서 블로그 글을 적거나 다른 파이프라인을 만든다고 이것저것 테스트하면서 보냈다. 그런데 올해는 배달에 재미를 들여서 온전히 배달알바에 집중했다.  그런데 최근에 단가가 낮아지고, 날씨도 더워지니 점점 힘들어지구나 싶다. 지..

IRP 퇴직연금 개시 시 보유 펀드, etf는 어떻게 되나? (연금 수령 방법)

💌 IRP 퇴직연금 개시 시 펀드, etf는 어떻게 되나? IRP  퇴직연금 수령 개시를 만60세 시작하면 계좌에 있는 펀드나 etf는 어떻게 되나요?  IRP 퇴직연금 수령 개시를 만60세에서 시작하게 되면, 계좌에 있는 펀드나 ETF는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1. **ETF**: ETF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연금 지급일에 맞춰 사용자가 직접 현금화를 해야 합니다¹. 즉, ETF를 매도하여 현금으로 전환한 후, 그 현금을 연금으로 수령하게 됩니다¹. 2. **펀드**: 펀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연금 지급일에 맞춰 금융기관이 지급액에 맞춰 펀드를 매도하고, 그 금액을 연금으로 지급합니다¹.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금을 수령하게 되며, 이는 연금 수령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¹. 예를 들어, ..

TR ETF, PR ETF 장단점 공부

약 3년 전 처음 IRP 계좌를 개설하고서 남들 다 하는 S&P500, 나스닥100, 필라델피아반도체를 매수했다. 그러다 ISA 계좌에서도 같은 ETF를 조금 매수했다. tr도 조금 매수했다. 그런데 정확한 장단점을 몰랐다.  그러다 최근에 홍춘욱 박사님이 TR ETF 매수해야 한다고 해서 조금씩 모아가고는 있었다.오늘 우연찮게 삼성증권에서 TR ETF 운용수수료 낮춘다고 해서 관심을 갖던 차에 아래 유튜브도 보게 되고, 검색도 해보게 되었다. https://youtu.be/WfcQTgLMMlA?feature=shared  위 영상에서 아주 설명을 잘 해주신다. 🎈TR ETF 정의아래는 코파일럿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이다. TR과 PR은 주로 ETF(상장지수펀..

HYG etf 특징, 수익률, 리스크 (중위험 중수익,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는 etf)

HYG etf에 대해 알려주세요 📍요약. 채권으로 보면 되고, 수익률은 주식보다는 낮고, 채권보다는 높다. 반대 상황에서도 중위험 중수익 **HYG ETF**는 **iShares iBoxx $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를 지칭하는 이름입니다. 이 ETF는 미국 달러로 발행된 **고수익 회사 채권**에 투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2007년에 출시**되었으며, **BlackRock**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³. 이 ETF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채권 투자**: HYG ETF는 미국의 주요 회사들이 발행한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합니다. - **고배당**: 이 ETF는 신용평가사들에게 투기등급 또는 정크 본드로 분류된 채권들을 모아놓았으며, 리스크가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 IRP 계좌로 입금하는 방법

내년 종합소득세 신고 때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개인연금계좌인 IRP에 입금을 했다. 그런데 오랜만에 입금을 하려니 미래에셋 앱에서 IRP 계좌로 어떻게 입금해야 하는지 잠시 생각했더랬다. 다행히 앱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으로 되어 있어서 입금은 어렵지 않았다. 😎 미래에셋증권 IRP 입금 방법 1 본인 소유의 미래에셋 계좌로 금액 입금cf. 얼마 전 일반 은행 계좌에서 IRP 계좌번호로 바로 입금하려고 해봤는데 안됐다.미래에셋 앱 로그인하단 메뉴 [국내 주식 잔고] 선택상단 메뉴 [계좌] 선택여러 계좌 중 [연금] [ 퇴직연금_개인IRP] 선택[모으기] 버튼 선택미래에셋 주식 계좌 중 출금 계좌 선택 → 이체 금액 선택 → 인증 ... 끝  😎  미래에셋 계좌 간 이체도 가능미래에셋 cma나 일반 계좌로..

증권사 개인형퇴직연금(IRP)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안전자산(채권, 정기예금) 매수 어떻게?

💌  IRP의 위험자산 비중이 70%가 넘었다는 메시지 얼마 전 개인형 퇴직연금인 IRP의 위험자산 비중이 70%가 넘었다는 메시지를 미래에셋에서 받았다. 최근 IRP 계좌에서 매수도 매도도 하지 않았는데 말이다. 그 이유는 갑자기 미국과 한국 증시 상황이 개선되면서 내가 아무 것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지수연계형 etf의 주가가 올랐기 때문에 현금과 이 etf의 비중이 바뀌었기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해결방법은 2가지이다.1) 위험자산의 매도 :  주식형 etf를 매도해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을 맞춰주는 것이다.2) IRP 계좌에 현금을 추가 납입 그러나 현재의 나는 보유 중인 지수연계형 etf(위험자산) 상품을 매도할 계획이 없기 때문에 현금을 추가로 납입할 수밖에 없다. 2년 전 종합소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