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 노후 준비

삼성증권 배당금 및 배당금 지급일 (ft. 금리에 따른 증권주, 은행주의 변동)

파란만장 미스김 2023. 4. 12. 16:07
반응형

22년 연말 보유시

 

✅ 삼성증권 1주당 배당금 :1,700원

- 지난해 주당 배당금은 3800원이었다. 즉, 지지난해 주식시장 활황기 때는 삼성증권이 장사 잘 해서 지난해 배당금도 높았지만, 지난해 주식시장이 나빴고 올해 지급하는 배당금은 반토막 난 것이다. 

삼성증권 배당금

 

배당금 지급일 : 23년 4월 13일(목)

삼성증권 배당금 지급일

 

※ 참고 : 21년 12월 결산 배당금, 즉, 지난해 지급한 배당금은 3800원

22년 지급 배당금

 

매출 및 영업이익

 

21년 영업이익 슈팅, 22년 영업이익 큰 폭하락

23년~25년 매출과 영업이익 보면서 향후 배당금을 대충 예상해 보면 되겠다.

 

출처: 네이버 증권

 

당연한 것이미지만 주가 따라 배당금 크기도 달라진다고 보면 되겠다.

출처: 네이버 증권, 삼성증권 월봉 차트 (23년 4월 12일 기준)

 

노후준비용으로 금융주를 모아가면 어떨까 생각했다.

사람들은 대략 하나금융지주,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을 모아가는 듯하다. 23년 하반기 실물경기 나빠지면 금융주 주가는 어떻게 될까? 24년 금리인하로 유동성이 좀 공급되면 이들의 주가는 또 어떻게 바뀔까?

 

✅ 함께 비교해볼 주식 : 하나금융지주

 

함께 비교해볼 주식은 하나금융지주이다. 하나금융지주는 전년보다 배당금이 증가하였다. 최근 3개년도 계속 배당금을 높여가고 있다.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준금리보다 투자자에게 더 높은 수익을 주는 곳으로 자금이 이동한다는 것

금리인상기 : 증권주 실적 ↓, 은행주/금융지주사 실적 ↑

금리하락기 : 증권주 실적 , 은행주/금융지주사 실적 ↓

  기말배당(4월) 중간배당(8월) 연도 매출(억) 영업이익
20년 기말배당(21년 지급) 1350 500 2020 482,160 38,364
21년 기말배당(22년 지급) 2400 700 2021 416,777 46,311
22년 기말배당(23년 지급) 2550 800 2022 708,437 46,903

 

금리에 따른 증권주와 은행주 주가 변동

금리 증권주 은행주
금리 인상  ↑ (이자 수익 증가)
금리 인하

 

워낙 변수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이 공식이 반드시 맞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금리 인상과 인하에 따라 어떤 주식을 매수/매도 할 것이며, 비중을 조절하거나 추가 매수를 해야 할 시점인지에 대한 힌트를 엿볼 수 있다.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23, 24, 25년 컨센서스를 찾아봤더니 매출과 영업이익이 어느 정도 유지 또는 살짝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배당을 현재 수준보다 낮추지는 않을 것 같다. 다만, 금리 인하시 주가는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증권주는 최근 며칠 간 KOSPI가 2500pt를 넘어서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3/04/13 기준) 증권주는 어쨌거나 주가지수 따라간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