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카카오뱅크에서 국세(부가세, 종합소득세) 납부하기 feat. 전자납부번호 및 가상계좌 확인 방법

파란만장 미스김 2023. 10. 2. 13:34
반응형

<2025년 1월 20일 업데이트>

제일 아래 3줄 내용을 먼저 보는 게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만약 오프라인이나 이메일, 국민비서를 통해 고지서를 받았다면 고지서에 나온 1) 전자납부번호나 2) 가상계좌로 입금하면 된다. 카카오뱅크 이체 기능을 통해 가상 계좌로 이체할 수도 있다. 또는 고지서를 출력하여 3) 은행이나 우체국에서도 납부할 수 있다. 4) 홈택스에서 카카오뱅크 계좌번호 넣고 바로 납부도 가능하다.

카카오뱅크에서 국세를 납부하기 위해서는 전자납부 번호 또는 가상계좌가 필요하다. (참고. 전자납부번호나 가상계좌 몰라도 홈택스에서 바로 납부도 가능하다) 고지서를 받았다면 적혀있는 전자납부 번호를 카카오뱅크 왼쪽 하단 ...(메뉴)를 선택한 후 [생활/편의] 아래에 [세금/공과금] 납부 메뉴에 입력 후 납부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 국세 납부하기 ( 전자납부번호 필요)

 

 

그런데 전자납부번호를 모른다면 아래와 같이 홈택스에서 납부할 국세를 확인할 수 있다. 국세는 부가세, 종합소득세 같은 것이다. 참고로 재산세나 면허세는 지방세라서 위택스나 서울시인터넷전자납부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납부할 국세 확인하기(전자납부번호, 가상계좌, 카뱅 계좌 입력으로 바로 납부)

 

1. 홈택스에 로그인한다.

 

2. 상단 메뉴 중 [납부/고지/환급] 선택 ->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  메뉴 선택한다.

 

✔️아래 내용 중 중요한 내용 2가지가 있다. 납부기한이 지난 후에는 바로 위 이미지 중앙의 [자진납부] 메뉴를 통해 납부해야 한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납부할 경우 납부대행수수료 각각 0.8%, 0.5%로 꽤 높다. 여유자금이 없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냥 현금납부하는 것이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다.

✔️홈택스 납부가능시간은 오전 7시~오후 23시 30분까지이다.

 

✔️아래 이미지처럼 세목과 세엑, 전자납부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바로 홈택스에서 은행 계좌번호 넣고 납부할 수도 있다. 이때 이용하려는 카카오뱅크 계좌번호를 넣어도 된다.

✔️제일 아래 [납부서 출력]이나 [가상계좌번호 SMS 전송]도 가능하다. 이 가상계좌를 받아서 카카오뱅크 [이체] 기능을 이용해서도 납부가능하다.

부가세 전자납부번

 

✔️ [ 납부하기 ]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납부할 내역과 결제 수단들이 보인다.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신용카드) 납부가 바로 가능하다.

 

 

🤣 2025/01/20 그런데 오늘 국세청에서 납부하려고 보니 위 단계 누르면 인증창 열리면서 문자를 보내준다고 숫자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보이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문자가 안와서, 결국 카카오뱅크 앱 세금납부에서 납부했다. 이미 부가세는 해놓은 터라 특별한 메뉴 클릭하지 않아도 납부할 금액이 바로 보여서 인증만 하고 간편하게 납부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