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제휴 상품으로 가입한 적금이 벌써 3번째로 끝나가고 있다.
오늘은 토스 하나은행 중도 해지 혹은 만기 해지 방법을 정리해 보자.
- 만기해지 혹은 중도해지방법은 중간 이후부터 보시면 됨
- 적금 일부 인출도 중간 이후부터 보시면 됨
<사전 확인 사항 : 만기 해지 방법 확인>
1. 이를 위해서는 하나은행 앱에 가입되어있어야 한다.
2. 하나은행 앱(하나원큐)에 로그인 한다.
3. 상단의 [계좌조회] 클릭
4. 중간의 [예금/신탁] 클릭
5. [예금/신탁] 클릭하면 현재 하나은행에 가입하고 있는 예적금이 모두 보인다.
토스 하나은행 적금 계좌 옆에 보이는 ... 을 클릭한다.
6. [계좌관리] 클릭
7. 하단의 [만기해지방법변경] 확인 : 가입 당시 내가 어떤 식으로 만기 해지 할지의 정보가 들어가 있다.
-자동만기 해지 : 만기일에 알아서 자동해지 되어 하나은행 일반계좌에 원금과 이자가 합산되어 들어가 있다. 알아서 해지 되니 신경 안 써도 된다.
-직접 해지 : 자동해지 되지 않고, 본인이 만기일이나 만기일이 지나고 직접 해지 버튼을 클릭하여 해지시킨다.
=> 내가 원하는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그대로 두고
=> 해지 방법을 변경하고 싶으면 [만기자동해지]를 클릭
주의사항. (이연만기) 내 경우 보통은 적금은 만기자동해지를 선택하는데, 이번 2월에 하나은행 적금 해지 때는 일부러 [직접해지]를 했다. 적금가입일과 자동이체 날짜가 딱딱 맞으면 좋지만, 적금 가입은 1일에 했지만 자동이체는 2일로 했다면 [만기해지방법]이 [만기자동해지]로 설정되어있다면 1일치 만큼 이자가 덜 들어오게 된다. 은행은 내가 납입한 날로부터 원금에 대한 이자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다음해 2일에 [직접해지]를 하면 가입시의 이자 모두 받을 수 있다. 만약 적금 가입은 1일에 했는데, 월급날인 25일에 자동이체 신청했다면 25일 [직접해지] 해야 온전한 이자를 다 받을 수 있다.
8. 만기해지방법 변경을 희망한다면 하단의 [변경하기] 클릭
추가. 만약 다시 만기자동해지 하고 싶다면 위의 과정을 다시 반복하면 된다.
<만기일 직접해지 혹은 중도해지 방법 / 일부 인출, 부분 인출>
1. 위 1~6번 과정 동일
2. [해지/해지예상조회] 클릭
3. 하단의 [계좌해지] 클릭 -> 이것으로 적금 만기 해지 혹은 중도 해지가 가능하다.
만약에 급전이 필요할 경우 아래 이미지의 [일부인출금액] 입력하고 일부 인출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원금과 남은 기간 동안 적금을 살릴 수도 있다.
<토스 적금 이자 확인할 것>
토스와 다른 은행 제휴 적금의 경우 해당 금융기관에서 주는 이자는 원금과 함께 해당 은행 일반계좌로 입금되지만, 수협 잇적금처럼 토스에서 주는 이자랄까? 포인트랄까? 이것은 적금 만기가 되면 [토스머니]로 들어와 있으니 이것도 확인하시라. 수협 잇적금은 확실히 토스머니로 이자가 들어와 있었고, 하나적금은 토스에서 지급하는 이자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작년 9월이라 기억이 잘 안 난다. 들어와 있다면 그냥 옆의 [송금] 클릭해서 내 은행계좌로 이체하면 된다.
'싱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통장 이자 변경 2021년 7월 1일부터 적용 (0) | 2021.06.16 |
---|---|
(가입후기) 산업은행 KDB 토스적금 가입방법 | 6개월 만기 4%이자 특판적금 (2) | 2021.06.15 |
펀드 투자 경험 | 하나은행 잔돈펀드 수익 (푼돈 재테크) (0) | 2021.04.15 |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BIS 체크 방법 (0) | 2021.04.06 |
매월 1일은 풍차돌리기 적금 넣는 날이예요 (0) | 2021.04.01 |